조선일보 2012년 3월 23일

 

지난 2월 27일 바르셀로나. 전 세계 이동통신사업자들의 모임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페이스북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브렛 테일러가 기조연설을 했다.
이 연설에서 그가 던진 강력한 메시지는 "페이스북은 애플, 구글을 통하지 않고 웹에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보겠다"는 것이었다. 모든 서비스가 웹에서 이루어지는 PC와 달리, 스마트폰 시대가 열리면서 주로 앱스토어에서 앱(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온 게 현 상황이다. 페이스북이 이를 바꿔보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그는 아울러 모바일 웹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시했다. 이동통신사업자들을 앞에 두고 "우리끼리 잘 협력해보자"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도대체 모바일 생태계에서는 지금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모바일 생태계는 여러 계층의 기업들로 이루어진다. 제조업체들이 스마트폰을 만들면 거기에 소프트웨어(SW) 플랫폼, 즉 OS가 탑재된다. 구글 안드로이드, 애플 iOS가 대표적이다. 그리고 OS에는 포털·검색·SNS와 앱스토어 같은 서비스 플랫폼이 올라간다. 애플은 하드웨어(HW)·OS·앱스토어를 묶어 폐쇄적인 수직결합구조를 만들었다. 한편 구글은 검색 플랫폼에서 OS(안드로이드)와 앱스토어로 영역을 확장하였다.
지금은 OS가 단연 주도권을 쥐고 있는 형국이다. 제조업체들은 애플에 이미 20% 가까이 시장을 빼앗겼다. 안드로이드도 점유율 50%를 훨씬 상회하면서 제조업체들은 사실상 하도급업체가 되는 게 아닌가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동통신사들도 스마트폰 등장 이전에는 독점적 콘텐츠 장터를 운영했다. 그런데 앱스토어에게 모든 걸 빼앗겨 모바일 상거래, 광고 등 새로운 수익원 창출 기회를 잃었다.
페이스북 같은 SNS 역시 위협을 느낀다. SNS와 앱스토어가 앱 판매, 상거래 등 수익 모델에서 정면으로 충돌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활용하여 자신의 플랫폼 확장을 꾀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폰에 구글 검색 바(bar)가 기본으로 노출되는 것이 좋은 예이다. 또 페이스북으로서는 안드로이드 폰에서 구글 플러스라는 SNS에 비해 차별을 당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다른 세력들이 연합해 OS를 견제하려는 움직임이 나오는 것이다. 제조업체들은 특정 OS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 윈도우폰 등 여러 OS와 제휴를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인텔과 함께 웹 기반 OS인 타이젠을 개발 중이다. 주요 이통사들도 WAC이라는 웹 기반의 앱스토어를 만들어 모든 스마트폰에 올릴 계획이다. 페이스북이 MWC에서 발표한 전략도 궤를 같이한다. 표준화된 웹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동통신사와의 협력을 통해 웹 플랫폼에서의 결제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 즉, 앱 개발자들에게 "이제는 애플·구글에 가지 마라. 웹에 앱을 올리면 돈을 벌게 해주겠다"고 제안한 것이다. 또한 이동통신사들에 결제금액의 일부를 제공함으로써 협력 모델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는 HTML5 기반의 웹 플랫폼이 일반화되면서 OS와 앱스토어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이다. 이는 제조업체에 반가운 소식이다. 어떤 OS를 쓰느냐보다 HW 자체의 경쟁력으로 승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후의 승자는 서비스 플랫폼, 특히 SNS가 될 전망이다. 예컨대 페이스북은 8.5억명의 가입자에게 맞춤형 서비스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개인화 웹 허브'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비해 이동통신사들은 새로운 수익원은 서비스 플랫폼에 빼앗기고 기존 매출은 모바일 메신저, 무선 인터넷전화에 잠식당해 수익성이 계속 나빠질 전망이다.

서비스 플랫폼이 진화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주도권을 쥔 것은 페이스북·트위터·구글 등 글로벌 기업이고, 국내 서비스 플랫폼과 이통사들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산업의 진화라는 빛이 남긴 짙은 그림자이다.

Posted by 조 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