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롤로그 

 

1990년대 이동통신 서비스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흔히 이 산업을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고 말하곤 했다. 이때는 통신 시장에 진입하기만 하면 대박이 날거라는 기대에 서로 이 시장에 뛰어들려고 안간힘을 썼다. 그러나 무선호출, TRS, CT-2 서비스의 급격한 쇠락과 함께 이들 사업자들이 시장에서 퇴출당하고, 이동전화 시장 또한 다섯 개 사업자에서 세 개로 구조조정 되면서 이 시장에 대한 기대도 많이 현실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언론에서 “엄청난 이익을 내는 통신사업자”라는 식의 표현을 심심치 않게 본다. 이런 표현은 기업을 지칭할 때는 맞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산업 전체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는 정확하지 않은 표현이다. 그리고 미래의 통신서비스 산업 구조를 이해하는 데는 이러한 시각이 혼란을 주기도 한다.

 

내가 이 글에서 얘기하려는 바는 다음과 같다.

- 통신서비스 산업에서 1위 사업자는 적지 않은 이윤을 벌어왔다.

- 그러나 ‘한계 사업자’에 해당하는 3위 사업자(LG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사업 개시 후 십여 년 이상 지났지만 여전히 누적 경제적 이윤이 마이너스이다.

- 3위 사업자의 경쟁력이 좋아지고 있지만, 이게 모든 통신 사업자가 경제적 이윤을 내게 되었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하위 사업자간의 경쟁력 격차가 줄어들면서, 3위 사업자는 (잘 해야) 경제적 이윤이 0인 상태를 유지하고, 상위 사업자의 이윤은 줄어들 것이다. 이것이 경쟁의 원리이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라고 생각하는가? 그럼 이 글을 더 읽을 필요가 없다. 그런데, 내가 보기엔, 주변에서 이 당연한 얘기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공감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이 글을 쓸 필요성을 느꼈다.

 

 

2. 기업은 언제 경제적 이윤을 낼 수 있는가?

 

우선 경제학 지식 몇 가지부터.

경제학에서의 이윤(economic profit)과 회계적인 의미에서의 이윤(accounting profit)은 다르다. 이것은 경제적 비용과 회계적 비용이 다르기 때문이다. 회계적 비용은 실제로 기업이 지출한 비용을 의미한다. 그에 비해 경제적 비용은 실제 지출한 비용뿐 아니라 기회비용을 합한 것이다. 대표적인 기회비용은 자기자본에 대한 비용이다. 즉, 부채에 대한 이자는 회계학적 비용으로 잡히지만, 자기자본을 다른 곳에 투자했다면 거두어들였을 ‘이익’은 명시적으로 비용에 계상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계적 이윤은 매출액에서 실제 지불한 비용(생산비용, 이자, 세금 등)을 뺀 것으로서, 손익계산서에 순이익이라고 표시되는 것이다. 그에 비해 경제적 이윤은 회계적 이윤에서 주주들이 투입한 자본에 대한 비용 - 일반적으로 올릴 수 있는 수준의 ‘정상 수익(normal profit)’ - 을 제외한 이윤을 말한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경제적 이윤 = 회계적 이윤(순이익) - 자기 자본에 대한 정상수익(기회비용)

그러므로 경제적 이윤은 곧 정상 수익을 초과하는 초과이윤을 의미한다.

그런데 완전경쟁 시장에서는 기업들이 일반적으로 올릴 수 있는 수익 이상의 초과이윤을 올릴 수 없다. 왜냐하면 기존 기업들이 초과이윤을 누리고 있는 한, 새로운 기업들이 그 이윤을 나누어 가지려고 계속 진입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기업의 경제적 이윤=초과이윤=0이다.

 

그럼 기업들은 언제, 어떻게 경제적 이윤을 누릴 수 있는가?

첫째, 독점 기업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즉, 진입규제나 특허, 표준 또는 강력한 기술력으로 독점적인 시장구조를 만들었을 때 초과이윤이 가능하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CDMA 시장에서 퀄컴이 누리는 이윤이 여기에 해당할 것이다.

둘째, 과점적인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소수 기업들이 coordinated action을 통해서 가격이나 생산물량을 조절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명시적인 담합은 어느 나라에서건 불법이지만, 과점적인 시장구조에서는 기업들이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coordinated action을 끌어낼 수 있다. 메모리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에서 기업들이 생산량 감축을 통해 가격을 유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다. 일본 엘피다가 미국의 마이크론에 합병된 것을 두고 메모리 시장의 경쟁강도가 줄어들었다고 평가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이다.

셋째, 과점적인 시장구조에서 선두기업과 하위기업간의 경쟁력이 차이를 보일 때이다. 즉, 선두기업이 규모의 경제로 말미암아 생산비용이 더 저렴하거나 제품 차별화를 통해 더 높은 가격을 책정할 수 있을 때, 하위기업은 경제적 이윤을 누리지 못하지만 선두기업은 경제적 이윤을 누릴 수 있다. 통신서비스 시장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장은 이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어떤 산업군의 시장구조 및 경쟁구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기업, 특히 상위 기업의 재무적인 상태만을 보아서는 안 되고, 한계 기업의 경제적 이윤이 얼마나 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3. LG유플러스는 이윤을 내고 있을까?

 

LG유플러스의 전신은 LG텔레콤이고 2010년에 유선통신사업자인 데이콤과 파워콤을 합병하여 새롭게 태어난 회사이다. LG텔레콤은 1997년 이동통신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2001년까지 초반기에 집중적으로 증자를 하여 2010년 3사 합병 이전까지 1조 7,702억원의 자본금을 투입하였다. 그에 비해 2009년까지의 누적 순이익은 9,020억 원에 달한다.

LG유플러스의 경제적 이윤을 정확하게 계산하려면 우선 자기자본비용(cost of equity)을 정확하게 알아야 하고, 또 연도별로 발생한 순이익(손실)과 연도별 누적 증자액의 현재 가치를 환산해야 한다. 이는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글의 범위를 넘어선다. 그렇지만 IMF 구제금융 시기에 1.8조원을 투입했고 10여년이나 지났는데, 그 사이에 벌어들인 돈이 0.9조원이라면 이건 밑진 장사이다. 이 정도 기간이라면 투입한 자본금은 진작에 회수하고 그 이후부터는 추가적인 수익이 꽤 쌓여야 성공적인 사업이라고 할 것이다. 예컨대, 자기자본 비용을 연 수익률 10% 정도로 가정하고, 매년 1,800억 원씩 2009년까지 최소한 2.3조원 정도의 순이익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

물론 2005년 이후에는 자기자본 규모에 걸맞는 수준의 순이익이 발생하고 매년 조금씩 증가하고 있었기에, 이제는 경제적 이윤이 약간 발생하는 안정적 궤도에 접어든 것으로 보였다. 2010년에도 3사가 합병한 이후에 5,700억 원의 순이익이 발생했는데, 이중에 2천억 원 주변일 것으로 짐작되는 유선 사업 이익을 빼고도 이동통신 사업의 수익이 괜찮았다고 볼 수 있다.

 

 

<표 1> LG유플러스 자본금, 매출액 및 이익 추이                                                                                    (단위: 억 원)

구 분

증자액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1997

4,050

366

-320

-204

1998

6,233

10,921

-766

-1,550

1999

2,970

14,384

-1,071

-1,617

2000

4

18,506

-2,689

-4,424

2001

4,445

21,218

3,699

1,544

2002

 

22,665

1,776

726

2003

 

22,275

2,112

788

2004

 

32,094

1,311

226

2005

 

35,094

3,599

2,481

2006

 

39,435

4,165

2,380

2007

 

45,855

3,239

2,753

2008

 

47,980

3,790

2,836

2009

 

49,491

3,869

3,081

2010

20,107

79,747

6,553

5,700

2011

 

91,852

2,857

847

2012

 

109,278

1,373

-596

합 계 (1997-2009)

17,702

360,284

22,714

9,020

합 계 (1997-2012)

37,809

641,161

33,497

14,971

 

 

 

그러나 문제는 그 다음이다. 유선 사업의 순이익은 그렇게 변동이 크지 않은데 비해, 이동통신 사업은 보조금 규모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출렁인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분야는 2011년 1,000억 원 이상, 그리고 2012년 3,000억 원 가까운 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쟁 강도가 약할 때는 3위 사업자도 약간의 경제적 이윤을 누릴 수 있었지만, 경쟁이 조금 심해지자 바로 큰 규모의 순손실을 보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쟁을 가로막는 특별한 요인이 없는 한 - 그것이 규제이건, 암묵적 담합을 가능하게 하는 어떤 환경이건 - 어느 산업에서든 경쟁을 통해서 한계 기업의 경제적 이윤이 0에 수렴하게 하는 힘이 존재한다.

 

 

4. 앞으론 어떻게 될까? - LG유플러스는 이윤을 낼까? SK텔레콤과 KT의 이윤은 확대될까?

 

LTE가 시작되면서 LG유플러스가 약진하고 있다. LG는 W-CDMA 네트워크가 없었기 때문에 단말기 라인업, 해외로밍, 홍보 등의 측면에서 열세를 면치 못했다. 그렇지 않아도 3위 사업자로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경쟁력 격차가 고착되는 듯 했다. 그러나 절치부심하던 LG유플러스는 LTE 사업권을 받자마자 대대적인 공세에 나섰다. 새로운 기술방식 도입을 계기로 경쟁 구도를 일거에 바꾸겠다는 LG유플러스의 전략은 어느 정도 유효했다.

2011년 LG유플러스의 ARPU(Average Revenue Per User)는 SK텔레콤, KT에 비해 약 8천원, 4천원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LG유플러스의 요금 수준이 낮고 프리미엄 고객의 비중이 작았다는 뜻이다. 지난 10년간 이런 상황에 변화가 없었다. 그런데 2012년에는 LG유플러스가 KT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으며, SK텔레콤과의 격차도 크게 줄었다. LTE 요금제는 LG유플러스의 기존 요금제에 비해 ARPU가 상당히 높다. 따라서 LG유플러스가 자사의 기존 고객 또는 경쟁사 고객을 적극적으로 LTE 가입자로 유치하였다는 뜻이다. 실제로 2012년 말 현재 LTE 가입자 비중은 LG유플러스가 SK텔레콤과 KT보다 훨씬 높다. 이 같은 ARPU 변화는 지난 10 년간 안정되었던 시장 구조를 뒤흔드는 ‘사건’이다.

하지만 내가 예측하기에는, 1~2년 후에 LTE가 3사 모두의 주력망이 되어 새로운 균형점에 도달했을 때, LG유플러스가 다른 두 사업자와 격차를 많이 줄이긴 하겠지만 여전히 3위에 머물 것이다. 즉, 3사 모두 LTE 가입자 비중이 70~80%에 도달하고 나면, KT의 ARPU도 증가하여 다시 2위로 올라 설 것이라는 뜻이다. 물론 LG유플러스의 LTE 이전 ARPU가 많이 낮았기 때문에, LTE 도입에 따른 ARPU 상승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서 그만큼 3사 간의 ARPU 격차는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설비투자, 네트워크 운영 및 단말기 구매 면에서 여전히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며, 브랜드 파워도 SK텔레콤, KT가 좀 더 앞서 있다. LTE 초기 시장에서의 공격적인 전략 덕분에 LG유플러스의 경쟁력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었다. 그러나 LG유플러스가 1, 2위와 대등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또 다른 계기가 필요하다.

(물론 내 예측이 틀려서 LG유플러스가 3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그런데 어느 경우건 세 개 사업자간의 격차가 과거보다 줄어들 것은 분명하기 때문에, 앞으로 전개될 이 글의 결론이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표 2> 이동통신사업자별 가입자당 매출액(ARPU) 추이                                                                               (단위: 원)

구 분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2010

31,603

34,701

26,876

2011

29,611

33,116

25,574

2012

28,954

32,392

29,603

 

자료: 삼성투자증권 Analyst Report, 2012년 ARPU는 추정치

* ARPU는 접속료, 가입비 제외

 

 

이처럼 경쟁력이 향상되고 ARPU도 올라갔으니 앞으로 LG유플러스는 안정적으로 경제적 이윤을 내는 구조로 갈까? 이 질문에 대한 내 답은 “그럴 가능성이 거의 없다”이다.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이유를 알아보기로 하자.

첫 번째 이슈는 LG유플러스가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서 얼마나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느냐이다. 통신서비스 시장에서 경쟁은 요금, 네트워크 품질, 고객 서비스, 단말기 보조금의 네 가지 축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단말기 보조금이 가장 강력한 경쟁수단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다른 글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지금까지 후발 사업자들은 끊임없이 시장점유율 확대를 꾀해 왔다. 그에 비해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은 50% 시장점유율을 마지노선으로 생각하는 듯 강력한 ‘사수’의지를 보여 왔다. 이 경우에 3사가 coordinated action을 통해서 모두 경제적 이윤을 낼 수 있는 구조를 만들려면 1위 기업이 시장점유율을 조금씩 잃는 것을 용인하거나, 후발 사업자들이 시장점유율을 늘이려고 하지 않고 현재의 시장구도를 인정해야 한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 두 가지 모두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둘째, 설사 사업자들이 coordinated action에 “합의”한다고 하더라도 3위 사업자가 안정적인 이윤을 누리기에는 최소한 두 가지의 ‘장애요인’이 있다. 그 중 첫 번째가 투자비의 급증 가능성이다. 애널리스트들은 이제 LTE 전국망이 구축되었기 때문에 투자수요가 완화될 것이라는 희망 섞인 리포트를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는 틀린 예측이다. 정부는 새로운 주파수 대역 할당을 준비하고 있다. 이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으면 주파수 경매 대금을 내야하고 또 설비투자를 해야 한다. (통신사업자들은 “이번 투자만 끝나면 투자비 지출이 줄어들 것입니다.”라는 말을 지난 10년간 되풀이했고, 애널리스트들은 정말 모르는지, 아니면 모르는 척 하는 것인지 이 말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그런데 주기적으로 새로운 기술방식이 도입되었고 치열한 경쟁구도는 통신사업자들을 “누가누가 좋은 통신망을 더 빨리 구축하나” 싸움으로 몰고 갔다.) ARPU 증가보다는 트래픽 증가가 훨씬 클 것이라는 점은 자명한 사실이다. (게다가 3개월이라는 단서가 달리기 했지만 LTE에서도 무제한 정액제가 도입된 상황이다.) 투자비 증가는 모든 통신사업자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이고, 3위 사업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한의 수준까지 품질경쟁은 계속될 것이다.

셋째, 혹시라도 이 같은 투자비 압박도 “참아냈다고” 하자. 사실 우리나라 이동통신망은 구축 범위와 스피드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이니, 3사간의 coordinated action을 통해서 네트워크 투자를 늦출 수만 있다면 수익성은 좋아질 수 있을 것이니 말이다. 그러나 이제는 여론이 나설 차례다. 통신 3사가 적지 않은 순이익을 냈다고 가정해보라. 국민들은 통신비 부담에 허리가 휘는데 통신사업자들은 떼돈을 벌고 있다는 비난 여론이 거세지고 이는 요금 인하 압박으로 이어질 것이다.

 

 

5. 에필로그

 

지금까지의 얘기를 종합하여 보자. 요금인하 압박은 논외로 하고, 시장에서의 경쟁 압력은 한계 기업이 경제적 이윤을 안정적으로 누리도록 ‘놔두지’ 않는다. 다만 우리나라 통신서비스 시장은 경쟁강도가 워낙 세기 때문에 이 기업이 경제적 이윤은커녕 순손실마저 보는 상황까지 종종 일어나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또한 경쟁 압력은 기업들 간의 경쟁력 격차를 줄인다. 이동통신 3사간의 경쟁력 격차가 줄어드는 것도 경쟁 압력의 결과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선두 기업들이 누리던 경제적 이윤도 점점 줄어든다.

경제학 교과서에서 언급한 이론은 현실에서 일어난다.

 

그런데 혹시 선두 기업들이 경제적 이윤을 가지고 간다는 사실이 ‘못 마땅’한가? 그럼 3위 사업자가 못 견디고 시장에서 퇴출될 정도로 통신요금 수준을 낮추라고 하면 된다. 그럼 그 다음에 남은 1, 2위 사업자 중에서 1위 사업자가 누리는 이윤은? 2위 사업자가 퇴출될 정도로 요금 수준을 낮추면 된다. 진작 사업자 하나만 남긴 후에, 이 사업자가 이윤을 못 가지고 가도록 철저히 규제를 하면 될 것을, 왜 그 생각을 미처 못 했을까? 자, 이제 다시 경제학자들이 논문을 쏟아 낼 좋은 기회가 왔다. 1960년대 70년대의 선배 경제학자들처럼... 독점 사업자가 얼마나 비효율적으로 경영을 하며, 규제기관은 또 얼마나 독점 사업자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지를 낱낱이 파헤치는 훌륭한 논문들이 쏟아져 나오겠구나. 그리곤 경쟁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여론이 들끓겠지...

 

Posted by 조 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