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2011년 8월 26일 조선일보에 게재된 컬럼을 위해 작성한 초고입니다.
  조선일보에 실린 기고문도 끝에 링크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주력산업인 디스플레이 산업이 공급과잉과 경기침체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46인치 LCD TV에 쓰이는 패널 가격이 작년 초 447달러에서 올 8월에는 307달러로 폭락하여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들이 상당기간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어려움이 단지 경기침체 때문이 아니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우리나라는 ‘95년 LCD 양산을 시작한 이후 성장을 거듭하여 ’02년 이후 세계 1위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작년 국내 생산액이 40조원을 넘고 수출도 345억달러로 수출품목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장점유율 또한 50%에 이른다. 이같이 뛰어난 실적은 생산기술의 우위, 과감한 투자, TV·휴대폰 등 국내 세트업체로부터의 안정적인 수요 확보 덕분이다.
일부에서는 메모리반도체 또한 수요위축,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폭락을 겪고 있음에 주목하여 LCD와 반도체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반도체와 LCD가 경쟁력을 확보한 방식은 매우 유사했다. 앞선 생산기술을 바탕으로 불경기에는 치킨게임에 가까운 선제적 설비투자를 통해 경쟁사들을 따돌리고, 호경기가 되면 그 과실을 차지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반도체는 여전히 기술우위를 지키고 있다는 점에서 LCD와 큰 차이가 있다. 메모리반도체는 나노미터급 미세공정, 신제품 개발 등 기술력에서 일본을 앞선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이다. 새로운 반도체 기술개발이 이뤄지면 이를 차세대 설비투자로 연결시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LCD 패널 기술은 범용화되어 우리를 바짝 뒤쫒고 있는 대만과의 기술력 차이가 거의 없다. 또한 선제투자의 이점도 사라지고 있다. 즉, 과거에는 보다 큰 패널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면 이에 맞춰 대규모 설비투자를 함으로써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었으나, 이제는 차세대 설비의 가격상승으로 말미암아 선제투자를 하더라도 생산원가가 낮아지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LCD는 TV·모니터 등의 교체수요 이외에는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어 성장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요약하면, 후발주자와의 기술력 격차도 줄어들고, 선제적 투자에 따른 원가경쟁력도 사라지고 있으며, 시장도 포화된, 전형적인 성숙형 산업이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LCD는 산업주기 측면에서 우리나라가 더 이상 경쟁력을 갖기 힘든 것이 근본적인 문제이다. 이젠 경기회복 후를 기대하면서 불경기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전략은 성공하기 어렵다. 특히 중국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 하에 LCD에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대만·일본기업들과 다양한 협력을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치킨게임을 통해 이들을 이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제는 LCD에 지나치게 기대려하기 보다, 새로운 기술력, 가격경쟁력,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대안으로 과감하게 옮겨 타야 할 때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그 첫 번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LED는 LCD에 비해 기술적으로 우월한 측면이 많으며, 현재 우리나라가 90% 이상 시장을 차지할 정도로 선점의 이익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17년에 OLED가 전체 시장의 10%에 불과하여 아직 OLED가 주력 디스플레이로 자리 잡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시장을 선도하여 OLED를 더 키워 나갈 필요가 있다.
그 밖에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떠오르고 있는 투명, 플렉시블,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기술개발과 시장창출을 위해 노력해야만 LCD 이후에도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시장이 새로운 기술방식으로 넘어갈 때 기존 방식에서의 우위가 도리어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은 어려움을 이겨내고 멋지게 ‘예외’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한다.

Posted by 조 신 :